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사회복지행정론 핵심 정리

 사회복지행정론 핵심 정리 (7영역)

 

1. 사회복지행정의 가치

*효과성(Effectiveness): 목표 달성 여부

*효율성(Efficiency): 최소 비용으로 최대 성과

*형평성(Equity): 공평한 서비스 제공

*접근성(Accessibility): 누구나 쉽게 서비스 접근

관점

*선별주의: 자격 조건 부여 후 서비스 제공 → 효과성·효율성 강조

*보편주의: 조건 없이 서비스 제공 → 형평성·접근성 강조


2.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

*1877: 미국 최초 자선조직협회(COS, 버팔로) 결성

*1886: 코이트(Coitt), 미국 최초 인보관 Neighborhood Guild 설립

*1889: 제인 아담스, 시카고 Hull House 설립

*1914: 사회사업 교과과정에 사회복지행정 최초 등장

*1929: 밀포드 회의 → 사회복지행정이 기본 실천방법으로 인정

*1935: 경제대공황 → 사회보장법 제정, 공공복지행정 확산

*1952: CSWE 대학원 과정에 행정 교육 포함

*1960s: 행정 침체기

*1963: 지역사회정신건강법 제정, CMHC 등장

*1970s: 오일쇼크·베트남전 → 공공지출 급증

*1976: 학술지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발간

*1981: 레이건 → 신자유주의·민영화, 재정축소


3. 조직 관리 이론

(1) 과학적 관리이론 (테일러)

시간·동작 연구 → 과업 표준화

분업·전문화, 경제적 유인 강조

(2) POSDCORB (굴릭 & 어윅)

Planning(기획), Organizing(조직화), Staffing(인사), Directing(지휘), Coordinating(조정), Reporting(보고), Budgeting(재정)

(3) 관료제 이론 (베버)

합법적 합리적 권위, 위계적 구조

규칙 성문화, 전문지식, 분업 강조

⚠️ 문제점: 목표대치, 크리밍, 매너리즘, 할거주의, 훈련된 무능

(4) 인간관계이론 (메이요, 호손실험)

비공식 집단, 인간적·사회적 욕구 중요

조직 성원 간 관계가 생산성에 영향

(5) 상황이론

“최선의 조직은 없다” → 상황과 환경에 적합한 구조 필요

조직을 상호의존적 하위체계로 보는 관점

(6) 체계이론

조직 = 개방체계,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

(7) 정치·경제이론 (자원의존이론)

사회복지조직은 외부 자원에 의존

권력·자원의 확보가 조직 생존 좌우

(8) 신제도이론

조직은 법·규범·사회적 가치 등 제도적 환경에 의해 영향 받음

(9) 조직군 생태이론

개별조직이 아닌 조직군을 분석 단위로 봄

환경 적합성에 따라 조직이 선택·존속

(10) 목표관리이론 (드러커, 1950s)

조직 전체 목표 달성 위해 단기 목표 설정

성원 참여와 책임 부여 강조 → 생산성 향상

 

4. 총체적 품질관리(TQM, Total Quality Management)

정의: 조직 전체가 참여하여 재화·서비스 품질 향상 → 고객 만족 달성 목표.

원칙

고객중심: 고객은 최고의 품질 판정자

품질중심: 기획 단계부터 품질 고려, 변이 예방

팀워크: 개인 노력 아닌 조직 성원의 참여

최고관리자의 리더십: 품질개선은 최고 경영층의 주도와 전 직원의 책임·헌신 필요

핵심:

지속적 품질향상 (욕구조사, 자료분석, 통계적 기법 활용)

서비스 생산 과정과 절차의 개선

지속적 학습, 문제 발견 및 시정


5. 사회복지조직 구조의 기본 개념

공식성: 직무의 표준화 수준 (경제성·예측성 향상)

복잡성: 조직 내 분화 정도 (수평·수직·공간 분산)

집권성과 분권성: 의사결정 권한 집중 vs 분산

부문화 기준

수 기준: 동일 직무 집합

시간 기준: 교대 근무(요양원 등)

기능 기준: 사례관리, 모금, 기획 등 기능별

지리적 기준: 지역에 따른 분화

서비스 기준: 개별·집단·지역사회 조직화

고객 기준: 아동·노인·장애인 등 대상별

접근통로 기준: 의뢰, 홈페이지, 유료·무료 이용자별


6. 조직 형태

기능조직: 기능별 위계적 배치 (전통적)

프로젝트 조직: 특정 목표 달성 위해 부서 인력 결합 → 임시적

매트릭스 조직: 기능조직 + 프로젝트 조직 결합 (이중 소속)


7. 기획(Planning)

특성

연속적 과정, 목표지향적, 의사결정과 연계

수단적 성격, 시간별 활동계획 포함

기법

간트차트(Gantt Chart): 사업별 목표와 소요시간을 도표로 표현

PERT(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): 세부목표와 시간계획을 연결, 임계경로(Critical Path) 확인

PDCA(Plan-Do-Check-Act): 순환적 관리기법


8. 의사결정

사이먼(Simon) 분류

정형적(프로그램화된): 반복·일상적 문제, 규칙적 의사결정

비정형적(비프로그램화된): 비일상·예외 상황, 창의적 의사결정

의사결정 방법

직관적 결정: 감정·육감 의존 (위험성 큼)

판단적 결정: 개인 지식·경험 활용

합리적 결정: 정보수집·분석 통한 과학적 절차

개인적 기법

의사결정 나무분석: 대안별 결과 예측, 장단점 균형 있게 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