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회복지조직이론 – 동기부여 이론 정리

1. 내용이론 (무엇이 사람을 동기부여하는가?)
1)매슬로우(Maslow) 욕구위계이론
- 욕구는 하위 → 상위 단계로 충족됨.
- 생리적 욕구 → 안전 → 사회적 욕구 → 존중 → 자기실현.
- 관리자는 구성원이 현재 어느 욕구 단계에 있는지 파악하고, 다음 단계 욕구 충족 기회를 제공해야 함.
2)허츠버그(Herzberg) 동기-위생이론
- 동기요인(Motivator): 만족을 주는 요인 → 성취, 인정, 성장
- 위생요인(Hygienic factor): 없으면 불만족, 있어도 동기부여 효과는 약함 → 급여, 근무환경, 감독 등
3)알더퍼(Alderfer) ERG이론
- 매슬로우 5단계를 단순화 → E(Existence: 존재), R(Relatedness: 관계), G(Growth: 성장)
- 욕구는 위계적이지만 동시에 나타날 수 있음.
3)맥클리랜드(McClelland) 성취동기이론
- 개인의 행위를 유발하는 세 가지 욕구
- 성취욕구
- 권력욕구
- 친화(친교)욕구
- 매슬로우와 달리 단계적 위계는 아님.
2. 과정이론 (어떻게 동기부여가 일어나는가?)
- 맥그리거(McGregor) X-Y이론
- X이론: 인간은 본래 일을 싫어한다 → 통제·감시 필요
- Y이론: 인간은 본래 일을 좋아한다 → 자율성, 창의성, 자기실현 지향
- 룬드스테트(Lundstedt) Z이론
- X-Y이론의 이분법적 관점을 비판.
- 일부 특수직종(학자·연구자 등)은 방임 상태에서 오히려 창의력과 생산성 향상 가능.
- 브룸(Vroom) 기대이론
- 동기부여 = 가치(Value) × 수단(Instrumentality) × 기대(Expectancy)
- 노력 → 성과 → 보상 → 가치 있는 결과라는 믿음이 있어야 동기부여됨.
- 아담스(Adams) 공정성(형평성)이론
- 개인은 투입 대비 산출이 타인과 공정하게 비슷해야 동기부여됨.
- 불공정하게 느껴지면 동기 저하 발생.
✅ 시험 포인트
- 매슬로우 ↔ 알더퍼 비교 (5단계 → 3단계, 순차성 vs 중복 가능)
- 허츠버그의 동기요인 vs 위생요인 구분
- 맥클리랜드의 욕구 3요소 기억
- 브룸 기대이론 = 곱하기 공식
- 아담스는 "공정성" 키워드
Blake & Mouton (관리격자이론)
- 두 가지 차원으로 리더십 유형을 설명
- 생산(성과)에 대한 관심
- 인간(사람)에 대한 관심
- 이를 5가지 기본 유형으로 제시
- 1,1형 방임형: 성과·인간 모두 무관심
- 9,1형 과업형: 성과만 중시
- 1,9형 인간중심형: 인간관계만 중시
- 5,5형 중도형: 타협적 관리
- 9,9형 팀형: 성과·인간 모두 중시 → 가장 이상적 유형
머튼(Merton)
- 머튼은 사회학자로, 조직이론이나 행정학 쪽에서는 관료제 이론 비판(역기능, 목표대치 등) 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.
- 따라서, 머튼은 Blake & Mouton의 관리격자이론 학자와는 관련이 없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