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사회복지실천론 핵심 요약

 사회복지실천론 핵심 요약

 

 

1.사회복지실천의 목적 (핀커스 & 미나한)

  • 개인의 문제해결 및 대처능력 향상
  • 개인을 사회적 자원·서비스·기회와 연결
  • 자원·체계의 효과적·인도적 운영 촉진
  • 사회정책 개발과 개선에 공헌

2.사회복지실천의 형태

 

(1) 직접적 실천

클라이언트와의 대면 개입

형태: 상담, 방문, 교육·훈련, 서비스 및 프로그램 제공

(2) 간접적 실천

환경에 대한 개입

형태: 공청회, 홍보, 제안서, 자원개발, 정책개발, 옹호, 조직화 등

 

 

3.실천 수준

미시적(Micro): 개인·가족 (상담, 치료, 교육, 구체적 자원제공)

중범위(Mezzo): 집단·조직 (자조집단, 치료집단 운영 등)

거시적(Macro): 지역사회·국가 복지체계 (정책 개발·분석·평가, 자원관리, 모금, 서비스 조정 등)

 

 

4.사회복지실천의 사상·이념

 

(1) 주요 사상

인도주의(박애사상): 부자는 빈자를 도와야 한다 → COS 우애방문단 이념

사회진화론: 적자생존 원리 사회 적용, 부적합 계층은 소멸 → COS 우애방문단 이념

개인주의: 타인 권리 침해 X, 자유로 자기이익 극대화 → 개별화, 수혜자격 축소 영향

 

(2) 실천의 기본 이념

 

이타주의(애타주의): 타인의 행복·이익을 위한 봉사정신

민주주의: 빈자의 참여권, 서비스 제공자·소비자의 동등성, 자기결정권 존중

과거 "주는 자 중심" → "받는 자 중심"으로 변화

인보관 운동의 주요 이념

다문화주의: 다양한 문화를 존중·공존시키는 문화상대주의 기반 정책·운동

 

사회복지실천 역사와 사조 정리

 

 

1.자선조직협회 (COS: Charity Organization Society)

 

목적: 자선활동의 중복·누락 방지 → 재원 낭비 줄이기

사상적 배경: 인도주의, 사회진화론, 개인주의, 구빈법 영향

빈곤관:

빈곤 원인 = 빈민 개인의 나태·도덕적 타락 (개인주의적 빈곤죄악관)

빈민구제의 핵심 = 사회개혁 X, 자조 통한 도덕적 변화 O

방법:

우애방문단 파견, 수혜자격 심사(자산조사)

‘Deserving Poor’(도울 가치 있음) vs ‘Non-Deserving Poor’ 구분

도울 가치 있는 빈민에게 조언·훈계·교화 실시

사회조사 통해 과학적 접근 시도

의의:

개별사회사업 발달에 영향

지역사회복지 활동의 기반 마련

성직자·지식인 계층 주도

 

2.인보관 운동 (Settlement Movement)

 

사상적 배경: 민주주의, 자유주의, 급진주의, 기독교 사회주의

빈곤관: 빈곤 원인 = 산업화 → 불평등한 사회구조

주요 사건:

1884년 영국 런던 화이트채플 슬럼 지역

바네트(Barnett) 목사, 옥스퍼드대 학생·교회 청년들 주축

최초 인보관: 토인비 홀(Toynbee Hall)

강조(3R):

Residence(거주)

Research(연구·조사)

Reform(개혁)

의의:

‘사회구조의 변화’와 ‘사회개혁·옹호’ 강조

집단사회사업·지역사회복지의 태동

 

3.진단주의 vs 기능주의

 

(1) 진단주의 (1920년대 전후)

배경: 프로이트 정신분석 영향

관점: 인간 = 과거 심리사회적 영향 → 자아 기능 저하

목표: 자아 기능 회복·강화

특징: 진단과 치료 중시, 사회복지사 = ‘치료자’

영향: 질병의 심리학 기반

(2) 기능주의 (1930년대 후반~)

배경: 성장심리학, 인간의 창조성·자유의지 강조

관점: 인간 = 성장 가능성, 현재 경험·동기 중시

목표: 원조과정(Helping Process) 통한 잠재력 발휘

특징: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‘관계’ 강조

 

4.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

 

1921년: 태화여자관 설립 (기독교 기반 사회사업)

1944년: 조선구호령 제정

1947년: 이화여자대학교에 기독교 사회사업학과 설치

1952년: 한국외원단체협의회(KAVA) 결성

1961년: 생활보호법 제정

1970년: 사회복지사업법 제정

1983년:

사회복지관 국고지원 법적 근거 마련

사회복지사 명칭 법제화

1985년: 시·도 단위 종합사회복지관 설립 시작

1985년: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창립

1987년: 사회복지전문요원 공공영역 배치

1989년: 영구임대아파트 건립 시 복지관 건립 의무화

1992년: 재가복지봉사센터 설치·운영

1995년: 정신보건법 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