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변수의 종류 (기능에 따른 분류)

 변수의 종류 (기능에 따른 분류)

 

 

  1. 매개변수 (Mediating Variable, 개입변수)
    • 독립변수(X)와 종속변수(Y) 사이에 놓여 X → 매개변수 → Y의 관계를 이어주는 변수.
    • 예: 공부시간(X) → 집중력(매개) → 시험성적(Y)
  2. 조절변수 (Moderating Variable, 조건변수)
    •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나 방향을 조절하는 변수.
    • 예: 공부시간(X) → 시험성적(Y), **IQ(조절변수)**에 따라 효과가 달라짐.
  3. 선행변수 (Antecedent Variable, 선행변수)
    • 독립변수보다 앞서 작용하면서 독립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.
    • 선행변수를 통제해도 X→Y 인과관계는 유지되지만, X→선행변수→Y 경로는 사라짐.
  4. 외생변수 (Extraneous Variable)
    • 실제로는 인과관계가 없는데, 겉으로 보기에 관계가 있는 것처럼 만드는 변수.
    • 외생변수를 통제하면 기존의 인과관계가 사라짐.
  5. 억압변수 (Suppressor Variable)
    • 실제로는 인과관계가 있는데, 겉으로 보기에는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변수.
    • 억압변수를 통제하면 숨겨져 있던 인과관계가 나타남.
  6. 통제변수 (Control Variable)
    •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도입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진짜 인과관계를 밝혀내는 데 사용.
    • 매개변수·조절변수·외생변수 등을 통제하면 ‘통제변수’라 부름.

🔹 조사 유형

1. 탐색적 조사

  • 목적: 조사 문제 발견, 변수 규명, 가설 도출
  • 방법: 문헌조사, 경험자 조사, 특례조사

2. 기술적 조사

  • 목적: 특정 현상을 사실 그대로 묘사
  • 예: 인구주택총조사, 여론조사

3. 설명적 조사

  • 목적: 변수 간 인과관계 규명, 가설 검증
  • 예: 실험조사

🔹 시간에 따른 조사유형

  1. 횡단조사 (Cross-sectional)
    • 일정 시점에 한 번만 조사 → 현황 파악에 적합
    • 경제적이고 빠르지만 인과관계 규명은 약함
    • 예: 인구·주택 센서스, 여론조사
  2. 종단조사 (Longitudinal)
    •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 표본을 반복 조사 → 변화 추세 파악 가능
    • 비용이 많이 들지만 인과관계 검증에 유리

👉 정리하면,

  • 매개·조절·선행·외생·억압·통제 변수는 인과관계 연구에서 각각 다른 역할을 하는 변수들이고,
  • 탐색·기술·설명 조사, 횡단·종단 조사는 연구 목적과 시간적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 조사 방법이에요,

📌 변수 & 조사유형 암기표

1. 변수의 종류

  • 매개변수: X → 매개 → Y (중간 연결자)
  • 조절변수: X → Y 관계의 강도·방향 조절
  • 선행변수: X 이전에 작용, X에 영향 → 통제 시 X→Y 관계는 유지
  • 외생변수: 겉보기만 인과관계, 통제하면 관계 사라짐
  • 억압변수: 실제 인과를 가림, 통제하면 숨겨진 인과 나타남
  • 통제변수: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도입해 인과관계 규명

2. 조사유형

  • 탐색적 조사: 문제·변수·가설 발견 (문헌, 경험자, 특례)
  • 기술적 조사: 사실 그대로 묘사 (인구조사, 여론조사)
  • 설명적 조사: 인과관계 검증 (실험조사)

3. 시간에 따른 조사유형

  • 횡단조사: 한 시점, 현황 파악, 경제적 (여론조사, 센서스)
  • 종단조사: 반복 조사, 변화 추세·인과 규명, 비용 ↑

📌 시간에 따른 조사유형 (세부 분류)

1. 패널조사 (Panel Study)

  • 동일한 조사주체 & 표본을 반복 조사
  • 특징: 시간적 변화에 대한 가장 명확·포괄적 자료 획득
  • 한계: 패널 조건화(Panel Conditioning) → 반복 조사 시 응답자가 연구 의도를 파악해 응답 왜곡 가능

2. 경향성(Trend) 조사

  • 조사주제 동일, 표본은 매번 다름
  • 특정 사회 집단의 변화 추세 파악

3. 동년배집단(Cohort) 조사

  • 표본은 매번 다르지만, **동년배(특정 코호트 집단)**를 지속적으로 추적
  • 경향성 조사와 유사하나, “동질적 속성 집단”을 전제로 함

4. 유사종단조사 (Quasi-longitudinal Study)

  • 종단조사 + 횡단조사 결합
  • 특정 집단의 변화를 횡단적으로 파악 → 비용·시간 절감

📌 개념의 조작화 과정

  • 개념 → 개념적 정의 → 조작적 정의 → 측정
    → 추상적 개념을 경험적으로 관찰 가능한 지표로 전환

📌 측정 수준 (척도)

구분특징산술적 계산주요 통계분석
명목척도 분류(범주) 불가 빈도, 백분율, 최빈값
서열척도 서열·순위 불가 교차분석, 순위분석
등간척도 간격 동일, 절대영점 없음 가능(+) 평균, 표준편차
비율척도 절대영점 존재 가능(±,×,÷ 모두) 평균, 중위수, 분산, 회귀분석

📌 측정의 오류

  1. 체계적 오류 (Systematic Error)
    • 일정한 방향으로 결과 왜곡 → 타당도 저하
    • 예: 척도 불균형
  2. 무작위 오류 (Random Error)
    • 일시적·우연적 → 일정 경향 없음 → 신뢰도 저하

📌 측정의 타당도

  • 타당도 = 의도한 개념을 얼마나 정확히 측정했는가?
  1. 내용타당도 (Content Validity, 액면·표면타당도)
    • 개념의 적절성·대표성
    • 전문가 판단·합의 기반
    • 예: 수학시험 → 연산·논리·기하 포함
  2. 기준타당도 (Criterion Validity)
    • 기준 척도와의 부합성
    • 종류:
      • 동시타당도: 현재 상황에서의 일치 정도
      • 예측타당도: 미래 상황 예측 가능성

📍 한눈에 정리하면,

  • 패널·경향성·코호트·유사종단 조사 = “시간 변화 추적 방법의 차이”
  • 측정 수준 = “명목 → 서열 → 등간 → 비율” (통계 가능 범위 ↑)
  • 오류 = 체계적(타당도↓), 무작위(신뢰도↓)
  • 타당도 = 내용·기준(동시/예측)

📌 암기표 요약

1. 조사유형 (시간에 따른)

  • 패널조사: 동일 집단 반복 → 변화 가장 명확 / ⚠ 패널 조건화
  • 경향성조사: 주제 동일, 표본 매번 다름 → 사회 변화 추세
  • 코호트조사: 특정 동년배 집단(속성 동일) → 집단 특성 변화
  • 유사종단조사: 횡단+종단 절충 → 비용·시간 절약

2. 측정 수준

  • 명목척도: 분류만 → 빈도, 백분율, 최빈값
  • 서열척도: 순서 → 교차분석, 순위분석
  • 등간척도: 간격 동일, 영점 없음 → 평균, 표준편차
  • 비율척도: 영점 있음 → 모든 통계 가능

3. 측정의 오류

  • 체계적 오류: 일정한 방향, 타당도 ↓
  • 무작위 오류: 우연·가변적, 신뢰도 ↓

4. 타당도

  • 내용타당도: 적절·대표성 (전문가 합의)
  • 기준타당도: 다른 척도와 비교
    • 동시타당도: 현재 상태 일치
    • 예측타당도: 미래 예측 가능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