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카테고리 없음

지역사회복지실천의 토대

선물같은 삶이 주어질때 까지 2025. 9. 7. 00:53

지역사회복지실천의 토대

 

1. 로스의 지역사회 개념

  • 지리적 지역사회: 같은 행정구역(읍·면·동, 마을, 도시)에 사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공간 기반의 공동체
  • 기능적 지역사회: 이해관계나 공통 목적(장애인 부모회, 외국인 근로자 모임 등)을 가진 기능 중심의 공동체

2. 튀니스의 공동사회와 이익사회

  • 공동사회(Gemeinschaft): 혈연·지연·동연을 바탕으로 한 친밀한 공동체 (가족, 친구, 민속 등)
  • 이익사회(Gesellschaft): 합리적 이해관계와 계약을 바탕으로 한 사회 (회사, 협동조합, 산업사회 등)

3. 던랩의 지역사회의 유형

  • 인구 크기: 대도시·중소도시·읍 지역
  • 경제적 기반: 광산촌·농촌·어촌·산업단지
  • 특수성: 도심 쇠퇴지역, 재개발 지역, 외국인 밀집지역 등

4. 길버트와 스펙의 지역사회의 기능과 제도

  • 생산·분배·소비 기능: 생활필수재와 서비스의 생산과 분배
  • 사회화 기능: 지역사회 지식·가치·행동 양식 전달
  • 사회통제 기능: 법·규범·도덕 등을 통해 질서 유지
  • 사회통합 기능: 결속력과 소속감 제공
  • 상부상조(상호부조) 기능: 어려운 주민을 돕는 제도 (사회복지제도 포함)

5. 워렌의 지역사회의 기능 비교 척도

  • 지역의 자족성: 외부에 의존하지 않는 정도
  • 서비스 영역의 일치성: 동일한 범위 안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정도
  • 심리적 동일시: 주민들이 자기 지역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도
  • 수평적 유형·수직적 유형: 조직 구조와 기능적 전문화 정도

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

1. 태동기 (1950년대~1960년대 후반)

  • 중앙정부 주도로 발전 시작
  • 1959년 정신보건법(Mental Health Act) 제정 → 지역사회보호가 법적으로 규정
  • 1960년대부터 지역사회보호 정책이 전개됨

2. 형성기 (1960년대 후반~1980년대 후반)

  • 시범 보고서(Seebohm Report, 1968): 지방정부 중심의 지역사회보호 실천 강조
    • 사회서비스 부서 창설 제안, 대인사회서비스 통합 필요성 강조
  • 하버트 보고서(Harbert Report, 1971): 공공서비스·민간서비스 조정, 지역사회 역할 강조
  • 바클레이 보고서(Barclay Report, 1982): 공식 서비스와 비공식 서비스 간 협력 필요

3. 발전기 (1980년대 후반~현재)

  • 그리피스 보고서(Griffith Report, 1988):
    • 지방정부의 1차적 책임 강조
    • 다양한 주체(공공·민간·자원봉사)의 역할 강조
  • 1990년: 국민보건서비스법(NHS) 개정 → 지역사회보호 체계 법제화

📖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

1. 태동기 (1865년 남북전쟁 이후~1914년 1차 세계대전 발발)

  • 산업화·도시화·이민자 증가로 빈곤 문제 심각
  • 1877년: 자선조직협회(COS) 설립 → 개별사회사업 발달
  • 1886년: 인보관 운동 시작 → 집단사회사업 발달

2. 정착기 (1915년~1950년대)

  • 1913년: 미국 사회복지사협회(NASW) 전신 결성
  • 대공황(1929) → 공공부조, 사회보장법 제정(1935)
  • 지역사회조직사업 발달, 전문적 사회사업 교육 강화

3. 확립기 (1960년대~현재)

  • 1960년대: 빈곤과 인종차별 대응, ‘빈곤과의 전쟁’(War on Poverty) 선포
  • 지역사회행동·시민권 운동 활성화, 사회개혁 성격 강조
  • 1970년대: 반전운동·인종차별 철폐운동 등으로 지역사회조직사업 활발
  • 1970~1980년대: 신자유주의 확산, 작은 정부·지방정부 책임 강화
  • 이후: 지역사회복지의 다양성, 전문사회복지사 역할 확립, 복지다원주의 발전

✅ 정리하자면,

  • 영국은 중앙정부 → 지방정부 중심으로, 공공·민간 서비스의 조정과 통합을 강조하며 발전.
  • 미국은 민간주도(COS, 인보관) → 정부개입(사회보장법) → 시민운동과 지역사회조직사업 확산으로 발전.

📊 영국 vs 미국 지역사회복지 역사 비교

구분영국미국
태동기 1950~60년대 후반
· 중앙정부 주도 발전
· 1959 정신보건법 제정 → 지역사회보호 법적 규정
1865 남북전쟁 이후~1914
· 산업화·이민 증가로 빈곤 심각
· 1877 자선조직협회(COS) → 개별사회사업
· 1886 인보관 운동 → 집단사회사업
형성·정착기 1960년대 후반~1980년대
· 1968 시범보고서(Seebohm Report): 지방정부 중심 서비스, 통합 강조
· 1971 하버트 보고서: 공공·민간 서비스 조정
· 1982 바클레이 보고서: 공식·비공식 서비스 협력
1915~1950년대
· 1913 미국사회복지사협회 전신 결성
· 1929 대공황 → 공공부조 강화
· 1935 사회보장법 제정
· 지역사회조직사업 발달
발전·확립기 1980년대 후반~현재
· 1988 그리피스 보고서: 지방정부의 1차 책임, 다양한 주체 협력 강조
· 1990 국민보건서비스법 개정 → 지역사회보호 제도화
1960년대현재<br>· ‘빈곤과의 전쟁’ 선포(1960s)<br>· 시민권·반전·인종차별 철폐운동과 함께 지역사회조직 활성화<br>· 197080년대 신자유주의 확산 → 지방정부 책임 강화
· 복지다원주의·전문사회복지사 확립

👉 핵심 포인트

  • 영국: 중앙정부 → 지방정부 중심, 법·보고서 중심 발전.
  • 미국: 민간(COS·인보관) → 정부개입(사회보장법) → 시민운동, 실천운동 중심 발전.
최근에 올라온 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