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7)
사회복지조사론 핵심 정리 사회복지조사론 핵심 정리 1. 연역법(Deduction)과 귀납법(Induction)연역법일반적인 법칙 → 특수한 사실 추론가설 수립 → 관찰/측정 → 검증예: “모든 사람은 죽는다” → “소크라테스도 죽는다”귀납법개별적 사실 → 일반적 원리 도출경험적 관찰 → 공통된 유형 발견 → 일반화예: “소크라테스, 플라톤 모두 죽었다” → “모든 사람은 죽는다”관계조사 시 연역법과 귀납법은 상호 보완적·순환적 관계를 가짐2. 조사의 논리(1) 실증주의(Positivism, 경험주의)사회현상도 자연현상처럼 객관적 법칙 존재경험적 관찰 → 이론 검증 → 인과관계 규명연역법 기반 → 양적 연구 중시통계, 실험, 표준화된 척도 사용소수 사례를 통한 일반화는 오류라고 봄(2) 해석주의(Hermeneutics, 반실증주의..
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(주요 연혁)1995~1999: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1997사회복지시설 신고제 전환, 평가제 실시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 제도 신설사회복지공동모금법 제정1999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정생활보호법 →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2003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의무화사회복지사 1급 국가자격시험 최초 시행2004~2006: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실시2005: 제1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2006: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실시2007전자 바우처(사회서비스 이용권) 사업 시행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2010: 사회복지통합관리망(행복e음) 개통2012: 희망복지지원단 출범2013: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운영2016정신보건법 폐지, 「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법」 제정읍·면·동 복지허브화 사업(..
사회복지실천론 핵심 요약 사회복지실천론 핵심 요약 1.사회복지실천의 목적 (핀커스 & 미나한)개인의 문제해결 및 대처능력 향상개인을 사회적 자원·서비스·기회와 연결자원·체계의 효과적·인도적 운영 촉진사회정책 개발과 개선에 공헌2.사회복지실천의 형태 (1) 직접적 실천클라이언트와의 대면 개입형태: 상담, 방문, 교육·훈련, 서비스 및 프로그램 제공(2) 간접적 실천환경에 대한 개입형태: 공청회, 홍보, 제안서, 자원개발, 정책개발, 옹호, 조직화 등 3.실천 수준미시적(Micro): 개인·가족 (상담, 치료, 교육, 구체적 자원제공)중범위(Mezzo): 집단·조직 (자조집단, 치료집단 운영 등)거시적(Macro): 지역사회·국가 복지체계 (정책 개발·분석·평가, 자원관리, 모금, 서비스 조정 등) 4.사회복지실천의 사상·이념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