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2)
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인지 행동 모델기본가정인간행동은 전 생애에 걸쳐서 학습함인산행동은 자신이 지닌 의지에 의해 결정되며 문제에 대한 통제력은 전적으로 자신에게 있음특징클라이언트의 책임을 강조하여 개입과정 중 클라이언트의 능동적인 참여를 요구함인지체계 변화를 위한 구조화되고 방향적인 접근을 강조함교육적 접근을 중요시하여 대체 사고와 행동에 대한 학습을 강조함시간제한적인 단기개입모델에 해당함문제중심적이며 목표지향적 현재중심적인 개입모델에 해당함이론적 기반 인지이론과 행동주의이론 이 절충되어 형성됨대효적인 모델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치료모델과 벡의 인지치료모델 등엘리스의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모델1.선행사건-클라이언트의 정서를 유발하는 사건2. 신념체계-특정사건에 대해 클라이언트가 지닌 신념이나 생각3. 결과- 선행사건에 대해 클라..
사회복지실천의 접근 방법 병리관점과 강점관점 비교구분병리관점강점관점클라이언트에 대한 규정환자 즉 진단에 따른 증상을 가진 사례비도적적인 존재나 희생자독특한 존재 즉 강점을 가진 자희생자가 아닌 승리자개입의 초점클라이언트의 문제클라이언트의 가능성클라이언트의 진술클라이언트의 진술은 회의적일 수 밖에 없으므로 전문가인 사회복지사에 의해 재해석되어 진단에 활용될 때에만 의미가 있음클라이언트의 진술은 그 사람을 아라가고 평가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므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진술을 인정해야 함유년기의 외상경험성인기의 병리를 예측할 수 있는 전조개인을 약하게도 또는 강하게도 할 수 있음지향점왜 언제 어떻게 클라이언트 체계가 잘못되었는지에 대한 것을 조사하기 위해서 과거에 대한 탐색이 필요현재 시점에서 클라이언트 체계가 가지고 있는 자..
사회복지 실천론 사회복지 실천의 토대핀거스와 미나한의 사회복지 실천의 목적개인의 문제해결 및 대처능력을 향상개인을 사회적 자원과 서비스 및 기호를 제공하는 체계들과 연결시키며 이러한 체계들의 효과적이며 인도적인 운영을 ㄹ장려하고 촉진 시킴사회정책의 개발과개선에 공헌함 간접적 실천과 직접적 실천직접적 실천 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의 대면적인 접촉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개입하는 것형태: 상담, 방문, 교육 및 훈련 서비스 및 프로그램 제공 등간접적 실천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의 대면적인 접촉 대신 클라이언트가 속한 환경에 개입하는 것형태: 공정회 개최, 홍보, 제안서 신청, 모집, 모금, 자원개발, 서비스 조정, 정책 개발,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, 옹호, 조직화 등미시적. 중범위. 거시적 실천미시적 수준주로 개인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