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7)
사회복지실천의 접근 방법 병리관점과 강점관점 비교구분병리관점강점관점클라이언트에 대한 규정환자 즉 진단에 따른 증상을 가진 사례비도적적인 존재나 희생자독특한 존재 즉 강점을 가진 자희생자가 아닌 승리자개입의 초점클라이언트의 문제클라이언트의 가능성클라이언트의 진술클라이언트의 진술은 회의적일 수 밖에 없으므로 전문가인 사회복지사에 의해 재해석되어 진단에 활용될 때에만 의미가 있음클라이언트의 진술은 그 사람을 아라가고 평가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므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진술을 인정해야 함유년기의 외상경험성인기의 병리를 예측할 수 있는 전조개인을 약하게도 또는 강하게도 할 수 있음지향점왜 언제 어떻게 클라이언트 체계가 잘못되었는지에 대한 것을 조사하기 위해서 과거에 대한 탐색이 필요현재 시점에서 클라이언트 체계가 가지고 있는 자..
사회복지 실천론 사회복지 실천의 토대핀거스와 미나한의 사회복지 실천의 목적개인의 문제해결 및 대처능력을 향상개인을 사회적 자원과 서비스 및 기호를 제공하는 체계들과 연결시키며 이러한 체계들의 효과적이며 인도적인 운영을 ㄹ장려하고 촉진 시킴사회정책의 개발과개선에 공헌함 간접적 실천과 직접적 실천직접적 실천 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의 대면적인 접촉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개입하는 것형태: 상담, 방문, 교육 및 훈련 서비스 및 프로그램 제공 등간접적 실천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의 대면적인 접촉 대신 클라이언트가 속한 환경에 개입하는 것형태: 공정회 개최, 홍보, 제안서 신청, 모집, 모금, 자원개발, 서비스 조정, 정책 개발,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, 옹호, 조직화 등미시적. 중범위. 거시적 실천미시적 수준주로 개인이..
사회복지 조사과정 (2) 설문지 질문의 어구구성 및 문항배열의 원칙질문의 어구구성의 원칙조사자의 의도에만 충실하지 말고 응답자의 능력, 수준 등의 특성을 파악한 수 이를 고려한 적정한 수준의 언어구성을 갖추어야 함이중질문 유도 질문을 피해야 함편향적인 용어나 항목을 회피하고 가치중립적인 표현을 사용해야 함질문의 문항배열의 원칙흥미롭고 응답하기 쉬운 질문을 우선 배치해야 함응답군 즉 고정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사질문들은 분리해서 배치해야 함신뢰도 측정을 위해 짝으로 된 문항들은 떨 지게 배치해야 함일반적인 것 을 먼저 특수한 것 어려운 질문 태도 의견 동기를 묻는 질문은 나중에 질문해야 함우편조사 조사자가 응답자에게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고 응답자는 이를 완성하여 이를 조사자에게 다시 반송하게 하여 회수하는 방법으로 자기 기입..